이 글에서는 저혈압의 기준, 증상이 있을 때와 없을 때의 차이, 그리고 생활 속에서 놓치기 쉬운 대처 포인트를 짚어봅니다.
1. 저혈압의 기준은 무엇일까?
일반적으로 수축기 혈압이 90mmHg, 이완기 혈압이 60mmHg 이하일 때 저혈압으로 진단됩니다. 하지만 이 기준만으로 치료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.
▶ 문제는 '수치'가 아니라 '증상'입니다.
실제로 어떤 사람은 90/60mmHg의 혈압을 유지하면서도 아무런 불편함 없이 생활하고, 또 어떤 사람은 동일한 수치에서도 심각한 어지럼증, 실신을 겪습니다.
2. 기립성 저혈압이란?
대표적인 증상성 저혈압 유형 중 하나가 기립성 저혈압입니다.
앉아 있다가 일어날 때, 혹은 누운 상태에서 갑자기 자세를 바꿀 때 3분 이내 수축기 혈압이 20mmHg 이상 떨어지면 진단됩니다.
- 흔히 경험하는 증상 : 어지러움, 눈앞이 하얘짐, 귀울림, 가슴 두근거림
- 주요 원인 : 자율신경계 이상, 탈수, 노화, 혈관 조절 장애
참고로, 질병관리청은 기립성 저혈압의 예방을 위해 '천천히 일어나기', '충분한 수분 섭취'를 권장합니다.
참고 : 국가건강정보포털
3. 증상이 있는 저혈압은 '병'입니다
'증상이 없으면 병이 아니고, 증상이 있으면 치료가 필요한 상태'라는 것이 핵심입니다.
3.1. 치료 또는 관리가 필요한 저혈압 케이스
조건 | 설명 |
---|---|
어지러움·실신 반복 | 기립성 저혈압, 미주신경성 실신 가능성 |
고령자 저혈압 | 낙상 → 골절 → 폐렴 등 2차 위험 높음 |
속발성 저혈압 | 심장·호르몬·신경 질환 등 기저질환 동반 |
식후 저혈압 | 음식 섭취 후 혈압 급강하 → 소식 필요 |
4. 증상이 없을 경우 : 관리보다는 관찰
혈압이 기준보다 낮더라도 증상이 전혀 없다면 의료적 조치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.
오히려 과한 염분 섭취, 불필요한 약 복용은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.
- 정기적인 혈압 체크로 변화 추적
- 기립 시 어지럼, 피로감이 없다면 관찰만으로 충분
5. 증상이 없을 경우 : 관리보다는 관찰
증상이 있는 경우, 또는 반복적으로 저혈압을 경험하는 경우에는 일상에서 다음과 같은 예방•관리 습관이 매우 중요합니다.
5.1. 추천 루틴
- 천천히 일어나기
갑작스런 자세 변화는 피하고, 기상 전 스트레칭으로 몸을 깨우세요. - 충분한 수분 섭취
하루 1.5~2리터 이상 물을 마셔야 혈액량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. - 작게 나누어 자주 먹기
특히 식후 저혈압을 예방하기 위해 고탄수화물 식단은 피하고, 소식이 좋습니다. - 맨손체조, 걷기 등의 운동
혈액순환을 자극하는 가벼운 유산소 운동이 저혈압 개선에 효과적입니다. - 심리적 안정 유지
스트레스는 혈관을 수축시켜 혈압 변화를 유도하므로, 충분한 수면과 정서 관리도 중요합니다.
결론 : '저혈압'은 상태이고, '증상'이 있으면 질환입니다
모든 저혈압이 병은 아닙니다. 하지만 증상이 있다면 대처가 필요합니다.
특히 고령자, 만성질환자, 반복되는 실신 경험자는 무조건 병원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.
생활 습관을 바꾸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일 수 있습니다.
건강은 작은 신호를 무시하지 않는 데서 시작됩니다.
0 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