익숙한 말이지만, 그것이 실제로 어떻게 면역체계를 무너뜨리는지까지 설명할 수 있는 사람은 드물다.
스트레스는 단순한 심리 반응이 아니다. 호르몬의 연쇄작용을 통해 인체의 면역 방어 체계를 차단하고, 질병에 취약한 몸으로 만든다.
이번 글에서는 스트레스가 **면역력에 미치는 영향을 '3단계 메커니즘'**으로 요약해 소개한다.
정보는 과학적으로, 설명은 간결하게.
'The Brief'의 방식으로 정리했다.
1. 신호가 시작된다 : 스트레스 반응의 출발점
1.1. 스트레스는 뇌에서 출발한다
스트레스 자극(불안, 공포, 업무 압박 등)이 들어오면, 뇌의 **편도체(amygdala)**가 즉시 반응한다.
이후 시상하부(Hypothalamus)를 자극해 **CRH(코르티코트로핀 방출 호르몬)**을 분비한다.
이는 다시 **뇌하수체(Pituitary Gland)**를 자극해 **ACTH(부신피질 자극 호르몬)**를 내보내며, 결국 부신(adrenal gland)에서 **스트레스 호르몬 코르티솔(Cortisol)**이 분비된다.
이 모든 반응은 'HPA 축(Hypothalamus-Pituitary-Adrenal axis)'이라고 불린다.
스트레스 상황에서 우리 몸이 자동으로 작동시키는 생존 회로다.
2. 코르티솔이 움직인다 : 면역력 억제 개시
2.1. 코르티솔의 양면성
코르티솔은 원래 우리 몸에 유익한 호르몬이다. 염증을 줄이고, 에너지를 공급하며, 감정 조절에 도움을 준다.
그러나 장기적으로 지속되면 문제가 된다.
작용 | 부작용 |
---|---|
염증 억제 | 상처 치유 지연, 감염 대응력 저하 |
면역세포 억제 | NK세포·T세포 활동 약화 |
림프구 분화 억제 | 백혈구 수 감소 |
미국 오하이오 주립대 연구에 따르면, 스트레스가 높은 사람은 T4세포 반응성과 백혈구 수가 현저히 낮았다.
3. 방어선이 무너진다 : 면역력의 실제 붕괴
3.1. 면역체계의 '예비군화'
스트레스가 계속되면 면역세포는 **'전투 대기 상태'**로 전환된다.
실제 싸움이 시작되기 전까지는 움직이지 않는, 비유하자면 '예비군' 같은 상태다.
그 결과, 감염이나 세포 손상 등 실질적 위협에도 즉각적인 면역 반응이 지연된다.
3.2. 자가면역질환과 암 위험 증가
- 스트레스로 인해 면역세포 간 균형이 무너지면 자가면역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.
- 코르티솔은 **NK세포(Natural Killer Cell)**의 기능을 떨어뜨려 암세포 제거 능력을 낮춘다.
실제로, 스트레스는 루푸스, 쇼그렌증후군, 아토피피부염, 천식, 건선 등 80여 가지 자가면역질환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.
결론 : 면역력을 지키는 가장 쉬운 방법은 스트레스를 인식하는 것이다
스트레스는 감정 문제가 아니다. 면역력을 무너뜨리는 물리적 트리거다.
문제는 강도가 아니라, 지속 시간과 인식 부족이다.
지금부터 가능한 관리법
- 하루 7시간 이상 숙면하기
- 규칙적인 식사와 가벼운 운동 유지
- 일과 휴식의 균형을 스스로 만들기
- 감정 인식 훈련 : "내가 지금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가?"
0 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