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식욕억제제란 무엇인가
1.1. 작용 원리
식욕억제제는 뇌의 시상하부에 작용해 배고픔을 덜 느끼게 하거나 포만감을 더 느끼게 만들어 식사량을 줄이는 약물입니다. 대부분 중추신경계를 자극하는 방식으로 효과를 냅니다.
1.2. 대표 성분
- 펜터민
- 펜디메트라진
- 디에틸프로피온
- 마진돌
→ 이들은 모두 향정신성의약품에 해당하며, 처방전 없이는 복용할 수 없습니다.
2. 단기 복용의 효과 : 정말 빠르다
2.1. 평균 효과
4주~8주 복용 시 체중 감소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.
특히 초기 복용자에게는 식욕 감소가 빠르게 체감됩니다.
2.2. 의료적 활용 기준
- BMI 30 이상 또는
- BMI 27 이상 + 고혈압, 당뇨 등 위험인자 보유자
→ 단기 보조요법으로만 권장됩니다.
하지만 '빠른 효과'는 종종 '빠른 의존'으로 이어지기도 합니다.
3. 장기 복용의 경고 : 신체와 정신에 남기는 흔적들
3.1. 주요 부작용 정리
부작용 구분 | 대표 증상 |
---|---|
신경계 | 불면증, 불안감, 집중력 저하, 우울감 |
심혈관계 | 고혈압, 두근거림, 심장부정맥 |
소화기계 | 메스꺼움, 변비, 설사 |
정신적 영향 | 내성, 의존성, 성격 변화, 금단증상(식욕 폭발, 우울 등) |
심각한 사례 | 환각, 편집증, 발작, 폐동맥 고혈압, 정신병적 증상 |
4. 정책과 규제 : 왜 이렇게까지 제한할까
4.1. 향정신성 식욕억제제의 지정 이유
- 의존성과 내성이 강함
- 남용 시 중독 및 정신질환 유발 가능성
- 불법 온라인 판매 빈번 → 구매자도 형사처벌 대상
4.2. 식약처 권고
"식욕억제제는 반드시 의사와 상담 후, 단기 보조요법으로만 사용할 것"
참고 : 정책브리핑
5.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길은 없을까?
5.1. 상대적으로 부작용이 적은 약물들
- 큐시미아 : 펜터민 + 토피라메이트 복합제 (장기 복용 가능)
- 콘트라브 : 금연 보조제로 쓰이는 부프로피온 기반
- 삭센다 : 주사제, 당뇨 동반 비만환자에 효과
하지만 이들도 전문의 상담 및 모니터링 하에 사용해야 안전합니다.
결론 : 빠른 길보다 안전한 길을 선택해야 할 때
핵심 요약
- 식욕억제제는 분명 단기적으로 효과가 있는 약입니다.
- 하지만 장기 복용은 몸과 마음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.
- 운동, 식습관 개선, 전문가 상담과 함께하는 복합 전략이 필요합니다.
"살을 빼는 것보다, 건강을 지키는 것이 먼저입니다."
0 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