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방은 단식 몇 시간 후에 타기 시작할까?
다이어트 유행의 중심에 있는 '16대8 간헐적 단식'. 식사를 8시간 안에 끝내고, 나머지 16시간 공복 상태로 유지하면 체지방이 연소된다는 주장이 널리 퍼져 있습니다. 하지만, 과연 과학적으로 이 주장은 타당할까요?

빈 주방 테이블과 유리물병


1. 16대8 간헐적 단식이란 무엇인가

1.1. 시간제한 식사 방식의 대표 주자

'16대8' 간헐적 단식은 하루 24시간 중 16시간은 금식, 나머지 8시간 동안만 식사하는 방식입니다. 예를 들어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만 식사하고, 나머지는 물•무칼로리 음료만 섭취하는 식이 전략입니다.

이 방식은 혈당 조절, 식욕 억제, 칼로리 섭취 감소 등의 효과로 널리 주목받고 있다.

2. 16:8 단식의 핵심 원리

2.1. 인슐린과 지방 연소의 관계

공복이 12시간 이상 지속되면 체내 인슐린 수치가 급격히 떨어집니다. 이때부터 신체는 저장된 탄수화물이 아닌 지방을 에너지원으로 전환하기 시작합니다. 이를 **신진대사의 전환(metabolic switch)**라고 부릅니다.

"공복 12~24시간이 가장 지방 연소가 활발한 황금 구간이다."
- 강북삼성병원 강재헌 교수 (출처 : 한국경제 인터뷰)

아침 공복에 산책하는 사람의 뒷모습

2.2. 실제 체중 감량 기전

  • 칼로리 섭취 시간 제한 → 자연스러운 열량 부족 상태 유도
  • 인슐린 분비 억제 → 지방 저장 억제 + 연소 촉진
  • 위장과 내장기관에 회복 시간 제공


3. 실험으로 본 효과 : 16:8 vs 4:3

미국 내과학회 저널에 발표된 연구(2024)에 따르면,
  • 16:8 방식보다 4:3 간헐적 단식(주 3일 섭취량 20% 제한)이 체중 감량률, 콜레스테롤 개선 효과가 더 높았습니다.
  • 그러나 16:8이 더 지속 가능하고 일상에 적합하다는 평가도 존재합니다.

방식 설명 1년 체중 감소율
16:8 하루 8시간만 식사 평균 5% 감소
4:3 주 3일만 식사량 20% 제한 평균 7.6% 감소

4. 단점과 부작용은 없는가?

4.1. 단기 효과에 집중된 연구

아시아경제가 보도한 미국 심장학회 연구에 따르면, 16:8 방식 실천자들의 심혈관 사망률 66% 높았다는 통계도 나왔습니다. 이유는 불분명하나, 근육 손실과 영양 불균형이 원인으로 추정됩니다.

4.2. 공복 스트레스와 폭식 유도 가능성

실제 16:8을 실천한 유저(브런치 후기)는 "살은 빠지지만 밤에 너무 배고파 잠들기 힘들고, 주말에 폭식으로 이어질 수 있다."라고 경험을 공유했습니다.


결론 : 16시간 공복은 효과 있을까?

정답은 **"조건부 예"**입니다.
  • 체지방 감량에는 일정 시간 이상 공복이 효과적입니다.
  • 그러나 무작정 굶거나 식단의 질을 무시하면 역효과도 생길 수 있습니다.

요약
  • 16시간 공복 후 인슐린이 낮아져 지방 연소가 시작
  • 단기 체중 감소에는 효과적, 그러나 지속 가능성과 영양 균형이 관건
  • 식단의 '시간'보다 내용물의 질과 생활 패턴의 일관성이 더 중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