하지만 항생제 연고, 정말 아무 상처에나 발라도 되는 걸까요?
지금부터 항생제 연고의 기본 성분부터 내성 문제, 바르는 방법, 주의사항까지 핵심만 정리해드립니다.
1. 항생제 연고, 왜 쓰는 걸까?
항생제 연고는 상처 부위의 세균 번식을 막아 2차 감염을 예방하는 역할을 합니다.
대표적인 성분과 용도는 아래와 같습니다.
성분 | 용도 |
---|---|
푸시드산, 무피로신 | 고름, 종기, 모낭염 등 감염성 피부질환 |
겐타마이신, 바시트라신 | 경미한 상처의 감염 예방 |
클린다마이신, 에리트로마이신 | 염증성 여드름 치료 (전문의약품) |
이처럼 항생제 연고는 세균이 원인인 감염성 상처에 한정해서 사용해야 합니다.
2. 모든 상처에 쓸 필요 없다
일반 찰과상이나 베인 상처에 무조건 항생제 연고를 바르는 건 권장되지 않습니다.
왜일까요?
- 항생제 내성 : 자주 바르면 세균이 항생제에 반응하지 않게 되는 '내성균'이 생깁니다.
- 전신 부작용 : 겐타마이신 등 일부 성분은 신장, 청각계 손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.
- 효과 없음 : 단순 상처엔 소독 + 밴드만으로 충분한 경우도 많습니다.
특히, 효과가 없는데도 계속 바르면 내성균만 키우게 됩니다.
3. 제대로 바르려면? 사용법 체크리스트
3.1. 바르기 전 확인
- 연고 유효기간 확인 (개봉 후 1달 이상 경과 시 세균 오염 가능성↑)
- 색•냄새 변했으면 사용 금지
3.2. 바를 때 주의사항
- 면봉 사용 필수 (직접 닿으면 오염 가능성↑)
- 얇게 펴바르기 (두껍게 바르면 흡수량↑ → 독성 위험)
3.3. 사용 기간
- 최대 1주일 이내 사용 권장
- 효과 없으면 중단하고 병원 진료
4. 스테로이드 연고와 헷갈린다면?
항생제 연고와 자주 비교되는 것이 스테로이드 연고입니다.
두 연고는 전혀 다른 기능을 합니다.
구분 | 항생제 연고 | 스테로이드 연고 |
---|---|---|
목적 | 감염 억제 | 염증, 가려움 완화 |
대상 | 세균 감염 상처 | 아토피, 접촉성 피부염 |
주의 | 내성, 부작용 | 피부 얇아짐, 호르몬 이상 |
5. 가장 많은 오해 Q&A
Q1. 연고는 많이 바를수록 낫는다?
A. 아닙니다. 대부분의 항생제 연고는 1% 이하만 피부에 흡수됩니다.
Q2. 후시딘, 마데카솔은 같은 제품인가요?
A. 아니요. 후시딘은 항생제, 마데카솔은 항생제 + 피부 재생 성분 혼합 제품입니다.
Q3. 매번 바르는 게 습관인데 괜찮을까요?
A. 반복적 사용은 내성과 피부 자극의 원인이 됩니다. 필요할 때만 사용하세요.
6. 항생제 연고, 이런 경우만 바르세요
- 상처에 고름, 열감, 진물이 생겼을 때
- 감염 가능성이 높은 부위에 상처가 났을 때
- 의사나 약사 권고가 있을 때만
- 피부가 예민하거나 소아인 경우, 전문가 상담 필수
관련 / 더 읽어볼 만한 콘텐츠
결론 : "작게, 짧게, 정확하게 바르자"
항생제 연고는 상비약으로 유용하지만, 무분별한 사용은 오히려 독이 될 수 있습니다.
지금까지 바르던 습관을 돌아보고, 감염성 상처에만 짧게, 얇게 사용하는 것이 피부 건강을 지키는 첫걸음입니다.
내 상처에 항생제가 정말 필요한지, 지금부터는 묻고 바르세요.
0 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