질병관리청에 따르면 5월 중순부터 시작된 폭염 기간 동안 '여름철 온열 질환' 환자가 급증하고 있습니다.
특히 열사병, 일사병처럼 응급 대응이 필요한 질환은 생명까지 위협할 수 있어, 기본적인 예방 수칙 숙지만으로도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.
이번 글에서는 서울아산병원•명지병원•질병관리청•정부 정책 자료를 바탕으로 지켜야 할 5가지 핵심 수칙을 정리했습니다.
※ 간결하지만 놓치지 않아야 할, The Brief 식 요약으로 전합니다.
1. 가장 기본적인수칙 : 갈증이 없어도 수분 보충
여름철 온열 질환 예방에서 가장 강조되는 첫 번째 수칙은 정기적인 수분 섭취입니다.
갈증을 느끼지 않더라도, 일정한 간격으로 물이나 전해질이 포함된 음료를 마셔야 합니다.
- 단순 물보다 이온 음료가 효과적
- 커피, 에너지 음료 등 이뇨작용 음료는 지양
- 실내•외 모두 수분 섭취 습관화 필요
2. 피해야 할 시간대 : 오전 11시 ~ 오후 5시 야외활동 금지
온열질환 응급실 방문자 대부분이 정오~오후 5시 사이에 발생합니다.
직사광선과 고온•고습 환경이 겹치는 시간대이기 때문입니다.
- 특히 노인•아이 등 고위험군은 실내 휴식을 권장
- 야외 작업자라면 15분 단위로 휴식, 정부 지침 준수 필수
- 부득이한 외출 시 모자•양산•밝은 옷 착용
3. 증상에 따른 대처법을 미리 익혀둘 것
열사병과 일사병은 비슷하지만 치명적인 차이가 있습니다.
응급 상황 시 잘못된 판단은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.
구분 | 주요 증상 | 대처법 |
---|---|---|
열사병 | 40℃ 이상 고열, 땀 없음, 의식 저하 | 119 신고 → 체온 낮추기 → 절대 물 먹이지 않기 |
일사병 | 어지럼증, 과도한 발한, 무기력 | 시원한 곳에서 수분·전해질 보충 |
자세한 내용은 서울아산병원 건강이야기 참고
4. 옷차림과 환경도 전략적으로
옷차림은 온열질환 예방의 첫 방어선입니다. 특히 피부 노출과 통풍이 중요한 요소입니다.
- 밝은색•통기성 소재의 옷을 선택
- 모자•선글라스•양산으로 햇빛 차단
- 자외선 차단제를 외출 30분 전에 바르는 것도 효과적
에어컨 실내 환경에서도 습도 관리가 중요합니다. 과도한 냉방은 오히려 순환기계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.
5. 위험 신호에 즉각 반응하기
다음과 같은 증상이 발생한다면 즉각 반응해야 합니다.
- 어지러움, 두통, 피로, 구토
- 근육 경련, 피부 홍조 또는 창백함
- 의식 저하, 헛소리, 비정상적 행동
이 중 2개 이상이 함께 나타난다면 온열질환이 진행 중일 수 있으며, 가장 중요한 것은 즉시 119 신고 및 체온 낮추기입니다.
마무리 : 여름철 건강의 첫걸음은 예방
'더워도 괜찮겠지' 하는 방심은 예상보다 빠르게 위험을 키웁니다.
단 한 번의 열사병 증상으로 응급실을 찾는 일이 없도록, 사전 인지 + 반복 학습 + 수분 보충이 기본입니다.
폭염은 재난입니다. 예방은 생존 전략입니다.
0 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