뜨거운 햇살 아래 장시간 노출된 후 붉게 달아오른 피부를 가볍게 넘기면 안 되는 이유가 있습니다.
일광화상은 단순한 일시적 화상이 아니라, 반복될 경우 색소침착•피부 노화•피부암 위험까지도 남길 수 있습니다.
이번 글에서는 1도 vs 2도 일광화상의 차이, 응급처치법, 그리고 실천해야 할 일광화상 예방법까지 한 번에 정리합니다.
1. 일광화상이란 무엇인가?
일광화상(Sunburn)은 강한 **자외선(UVB)**에 의해 피부가 급성 염증 반응을 일으키는 상태입니다.
가볍게는 홍반과 따가움으로 끝나지만, 심할 경우 물집, 부종, 심한 통증, 열감까지 동반될 수 있습니다.
의학적으로는 'MED(Minimal Erythema Dose)', 즉 최소 홍반량을 초과한 자외선 조사시 발생하며, 피부세포의 DNA 손상 → 염증 반응 → 피부 손상이라는 과정을 거칩니다.
2. 1도 vs 2도 일광화상, 어떻게 다를까?
구분 | 1도 일광화상 | 2도 일광화상 |
---|---|---|
피부층 | 표피층 손상 | 진피층까지 손상 |
증상 | 붉어짐, 따가움, 약간의 부종 | 물집, 진한 통증, 열감 |
회복 | 3~7일 내 자연 호전 | 치료 필요 시 2주 이상 소요 |
특징 | 껍질이 벗겨지며 회복됨 | 색소침착·감염 우려 존재 |
TIP
피부색이 밝거나 민감한 사람일수록 2도 화상으로 발전할 위험이 높습니다.
3. 증상별 응급처치 가이드
3.1. 1도 화상일 경우
- 차가운 수건으로 화상 부위 냉찜질
- 보습제(무향, 무자극성) 도포
- 이부프로펜, 아스피린 등 NSAIDs 복용 (통증 및 염증 완화)
3.2. 2도 화상일 경우
- 물집은 절대 터뜨리지 말 것
- 피부과 방문 필수
- 감염 위험 있으므로 2차 처치는 전문가 조언 필요
3.3. 사용 주의
- 국소 마취제 크림은 피부염 유발 가능성 있으므로 피할 것
- 알로에 겔은 냉찜질 이상의 효과는 없음
4. 일광화상 예방, 이것만은 지키자
4.1. 자외선 차단, 기본 중의 기본
예방법 | 설명 |
---|---|
SPF 30 이상 자외선 차단제 | 외출 20분 전 도포, 2시간마다 덧바르기 |
오전 10시 ~ 오후 3시 직사광선 피하기 | 자외선 강도가 가장 높은 시간대 |
UPF 의류·모자·선글라스 | 물리적 차단도 병행해야 효과 상승 |
자외선 지수 앱 활용 | 일일 노출 계획 시 참고 필수 |
수분 섭취 | 화상 방지와 피부 회복력 유지에 필수 |
참고 : 질병관리청 건강정보포털
5. 일광화상, 그대로 두면 남는 흔적
색소침착, 광노화, 피부 손상.
회복된 것처럼 보여도 피부는 자외선을 기억합니다.
특히 반복적으로 화상을 입은 부위는 노화가 빠르게 진행되고, 피부암의 전 단계인 광각화증으로 진행될 가능성도 있습니다.
예방이 곧 치료입니다. 단순한 통증이 아니라, 피부 건강의 출발점이라는 인식이 필요합니다.
관련 / 더 읽어볼 만한 콘텐츠
마무리하며 : 여름을 기억하는 피부, 지금부터 지키세요
한 번의 일광화상도 피부에겐 스트레스입니다.
여름을 즐기되, 피부를 소모하지 마세요.
차단하고, 보호하고, 조기 대처하는 것, 그것이 여름철 생존 전략입니다.
0 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