계단을 오를 때 시큰한 통증, 앉았다 일어설 때 무릎이 뻣뻣해지는 감각은 단순한 피로일까, 아니면 퇴행성관절염의 시작일까?
자가진단 기준 5가지를 통해 퇴행성관절염 초기 증상 여부를 가늠해볼 수 있다.
1. 퇴행성관절염 vs 단순 피로 - 어떻게 구별할까?
하루 종일 서 있거나 많이 움직인 날, 무릎이 아픈 건 어쩌면 당연하다.
하지만 다음날까지 통증이 지속된다면 얘기가 달라진다.
퇴행성관절염은 노화로 연골이 점차 마모되며 발생하는 질환이다.
초기엔 일상적인 통증처럼 느껴지기 때문에, 자칫 방치하기 쉽다.
1.1. 주요 증상 구분표
구분 | 단순 피로 | 퇴행성관절염 |
---|---|---|
통증 발생 시점 | 활동 직후 | 활동 중/후, 휴식 후에도 지속 |
부위 | 전반적 피로감 | 국소적 통증 (무릎/손가락) |
경과 | 하루 이내 호전 | 반복 또는 만성화 |
소리 | 없음 | 마찰음(‘뚝’, ‘드르륵’) 발생 |
부종 | 없음 | 관절 주변 부종 동반 가능 |
2. 자가진단 기준 5가지
퇴행성관절염의 초기 신호는 '눈에 띄는 통증'보다도 미묘하다. 다음 기준에 하나라도 해당된다면 전문의 상담이 권장된다.
2.1. 계단 오를 때 무릎이 시큰하거나 뻣뻣하다
단순한 근육통이 아니라 관절 연골 마모 초기 증상일 수 있다.
2.2. 무릎에서 '뚝' 또는 마찰음이 느껴진다
연골이 얇아지며 뼈끼리 닿을 때 나는 소리. 연골 손상 가능성을 시사한다.
2.3. 무릎 주위가 붓고, 누르면 압통이 있다
초기엔 간헐적 부종과 압통만 보일 수 있어 더욱 주의해야 한다.
2.4.무릎을 굽히거나 펼 때 불편하거나 통증이 있다
운동 범위가 줄어드는 것은 관절 기능 저하의 시작이다.
2.5. 아침에 일어나면 무릎이 뻣뻣하다 (30분 이상)
류마티스관절염과의 구분 기준이 될 수 있으며, 퇴행성관절염 초기 단계에서도 나타남.
3. 조기 진단의 중요성 : 치료 시기를 놓치지 마라
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, 퇴행성관절염은 조기에 발견하면 비수술 치료로 충분히 관리 가능하다.
MRI, X-ray 진단 외에도 환자 스스로 증상 변화를 인지하고 병원을 찾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.
정형외과 전문의 최원식 교수(대전을지대병원)는 "무릎 통증을 반복해서 느낀다면, 초기라도 병원을 방문해 진단을 받는 것이 최선"이라며, "무릎 연골은 한 번 닳으면 회복이 어렵기 때문에 조기 치료가 관건"이라고 강조했다.
참고 : 헬스조선
4. 퇴행성관절염, 예방 가능한가?
완전히 막을 수는 없지만 발병 시기를 늦추는 것은 가능하다.
- 체중 조절은 관절 압박을 줄인다.
- 무릎 근력 강화 운동(자전거, 수영, 평지 걷기 등)이 예방 효과 있음
- 쪼그려 앉기, 계단 오르내리기 등 고관절 무리 활동은 자제
관련 / 더 읽어볼 만한 콘텐츠
결론
무릎 통증은 흔하지만, 그 속에 숨은 신호를 놓쳐서는 안 된다.
퇴행성관절염 초기 증상은 피로처럼 느껴질 수 있으나, 반복된다면 반드시 전문가의 진단을 받아야 한다.
가장 좋은 치료는 '빠른 인식'이다.
의심된다면, 오늘이 바로 시작점일 수 있다.
0 댓글